노후 관리

퇴직과 노년의 심리학(폴 투니어)

부실이 2022. 9. 30. 16:56

책을 읽은 때가 40대였다. 지금은 도서관에서도 오래된 책으로 분류되어 볼 수 없는 책이다.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노년에 접어든 지금,  이미 작고하신 폴투니어님의 말씀이 가슴 한켠에서 아련하다. 

다행이 밑줄 그은 내용들을 남겨놓아서 옮겨적는다.

 

* 언제나 앞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것은 삶의 법칙입니다. 인생의 아침에 적절한 프로그램에 따라 인생의 저녁을 살기란 불가능합니다. 그때 아주 중요했던 것이 이제는 아주 하찮은 것이 되고 아침에 진리였던 것이 저녁에 오류가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 노인 의사는 환자의 말을 귀담아 듣기 위해, 그들을 인간으로서 이해하기 위해 그의 여가시간을 이용한다면 그는 그의 일에 새로운 특성을 부여하고 그것을 더 인정어린, 흥미있는 일이 되게 할 것입니다. 그렇게 하는 가운데 그는 그의 바빴던 젊은 시절에 그를 강요해왔던 전문화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그때 그 의사는 그의 개인적 삶이 풍성해졌음을 결과적으로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 그는 그 자신을 새롭게 하고 그의 직업적 일상으로부터 벗어납니다. 인간적인 대화에 있어서 노인의사는 더욱 더 귀중한 존재입니다. 나이가 고령화됨으로써 그 의사는 이전에 하찮게 보였던 온갖 종류의 질문들을 묻기 시작합니다.

인생은 기술적 임무수행보다 더 넓은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많은 의사들이 기술적인 태도에서 인격적인 태도로 점차적인 변화를 경험합니다.     - 헨리 멘타 '인격 의학'

 

* 노년기 퇴직에 직면하여 우리의 성공은 인격의 성숙과 협상함으로써 우리의 성공을 테스트할 것입니다. 퇴직에 대한 내적 준비는, 미리 더 일찌감치 시작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두 번째 전환점을 인생의 최고 절정기인 정오에 놓습니다. 

인생의 정오는 가장 위대한 개발의 순간이기도 합니다. 한 인간의 그의 모든 능력과 의지를 모두어 전적으로 그의 일에 몰두하는 때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황혼이 깃드는 순간이기도 합니다.      - 심리학자 융

 

* 문화 

첫 번째는 사회로부터, 전통으로부터, 학교로부터 배운 문화로써 지식의 기본적인 장비입니다. 두 번째는 더욱 더 개인적이며 더욱 사심이 없으며 원초적이고 완전하게 전개되어집니다. 전자는 생산을 향하고, 후자는 보다 명상적인 것입니다.

인간은 삶 속에서 두 가지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자손을 낳고 보존하는 데 요구되어지는 보호의 자연적인 목적입니다. 이 목적이 충족되어질 때 또 다른 면이 시작되는데, 그것은 문화적인 목적입니다. 

첫 번째 전환점은 성숙에로의 향상이고, 두 번째 것은 새로운 성취에로의 향사입니다.

 

* 노후의 성공을 이루기 위하여 가능한 한 연기하려 하지 말고 일찍 준비를 시작해야 합니다. 인생의 한 가운데서 우리 자신들을 직업적, 사회적 소용돌이 속에 완전히 빠뜨려 버리는 대신 멈추어 서서 어느 정도 먼 미래를 바라보며 우리 존재에  대해 생각하고 구상해야 합니다. 조금씩 외적인 활동을 줄이고 기술적인 것보다는 더욱 더 문화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은퇴의 순간을 감당해 나가게 할 것입니다.          -  융

 

* 우리가 우리의 삶 전체를 일에 관해서만 생각하면서, 사람들을 그들의 노동에 의해서만 가치있게 여기고 한가함을 악이라 비난하면서 보냈을 때, 우리는 우리의 자유를 가지고 무엇을 하며 일을 통해 얻어진 번영을 가지고 무엇을 해야 할까요?

 

* 퇴직은 갑자기 너무 많은 것을 잃게 만듭니다.

퇴직하기 전에 여가 시간의 활동은 기분전환, 휴식 그리고 쾌락의 값싼 수단이었습니다. 퇴직 후 그러한 여가활동은 아주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될 것입니다. 즉 그것들은 갑작스런 일의 중단에 의해 남겨진 공백을 채우기 위한 일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들은 일의 중단으로 인해 고립된 사람들을 위해 사회적 관계를 맺을 기회를 제시합니다.

퇴직 전의 여가활동은 여분의 일이지만 나중에 그것은 전체적인 필요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진정으로 가치있는 인간관계는 사랑과 우정을 나누는 소수의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노인에게 더 적용되는 말입니다.

 

* 노년기는 한 인간이 살아온 삶의 방식에 의존하는데 이 것은 개인이나 부부 모두에게 적용됩니다. 갈등을 극복하지 않고 성장할 수 있는 부부들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고통의 기간을 통해 그리고 상호간의 솔직함을 통해 남편과 아내는 있는 그대로의 상대방을 점차적으로 용납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