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2025년

부실이 2025. 3. 20. 21:41

3 / 16 : 해동초등학교와 동네 

만난꽃 : 매화, 홍매화, 능수매화, 목련(초등학교)

 

3 / 20 : 꽃대로 나무 구별하기

복숭아 : 꽃대가 짧다. 꽃잎이 뾰족.

매화 : 꽃대가 없다. 꽃잎이 둥글다.

벚꽃 : 꽃대가 길다. 꽃잎이 갈라졌다.

 

3 / 30 : 동네

만난꽃 :

풀꽃 : 꽃마리, 개쑥갓, 점나도나물, 수선화, (좀)봄까치꽃, 살갈퀴, 제비꽃, 민들레, 방가지똥, 별꽃, (황새)냉이, 광대나물,             유채꽃, 봄동

나무꽃 : 앵두, 살구꽃, 벚꽃, 동백, 복숭아, 라일락, 황매화, 남경도, 로즈마리, (자)목련, 개나리, 사방오리나무, 산수유, 백서 향,

 

해운대여중, 해동초등학교에 라일락꽃이 피었다. 계절은 일정하게 꽃피고 열매맺는데 내 머릿속 시계는 고무출처럼 늘어지기도 하고 수축도 된다. 아 벌써~ 라일락이 피었다고? 16일 보았던 목련꽃은 모두 떨어지고 잎이 나기 전 빈가지로 돌아갔다. 매일매일 새로운 꽃들이 피어나고 꽃이 진 자리에는 매일매일 열매 맺을 준비를 할 것이다.

 

* 제비꽃

신동아파트에서 내려오는 인도에는 돌틈사이로 제비꽃들이 줄지어 피어 있다. 그냥 풀인줄 알았는데 꽃을 달면 꽃길이 된다. 작은키에 보라색 꽃을 달고 터를 잡고 핀다. 사람들이 밟고 다니는 길에서도 돌틈에서도 뿌리를 내린다. 그리고 살아남는다. 

 

4 / 5 ~ 6 : 울산들꽃학습원 / 송도 암남공원 쪽

나무꽃 : 조팝나무, 벚나무, (자)목련, 산수유, 동백, 복숭아, 배, 박태기, 진달래, 개나리, 라일락, 철쭉

풀꽃 : 애기똥풀, 민들레, 점나도나물, (개)별꽃, 양지꽃, 광대나물, (흰)제비꽃

 

울산들꽃학습원에 2024년 가을에 가고 4월에 갔더니 공사중인 다운동 아파트 단지와 땅을 주고 받는 과정에서 일년간 들꽃학습원 운영을 중단한다고 한다. 나무들을 옮겨서 심고 재배치를 하는 중인 것 같다.

꽃 공부를 시작한 지만 9년, 울산들꽃학습원을 찾아간 지가 8년은 된 것 같다.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인연이 있어서 그러하다는데``` 장소와의 인연도 그러한 것 같다.

멀지 않은 곳에 있어서 공부하듯이 찾아갔었다. 2년 전에는 꽃달력도 만들었는데 울산들꽃학습원에서 알게 된 꽃들만으로도 대한민국에 피고 지는 꽃들을 대충은 헤아리게 되었다. 그 공이 참으로 크다.

소중한 인연 하나가 떠나간 것처럼 마음에 한참을 머문다.

 

4 / 11 ~12 : 창녕 비봉리전시관 오가는 길에,  송도 암남공원 둘레

나무꽃 : 황매화(겹`홑), 라일락, 조팝나무, 동백, 모과, 꽃잔디, 벚꽃, 철쭉, 연산홍, 은행나무`감나무 새싹, 개나리, 복숭아, 배, 박태기, 탱자나무, 청미래덩굴 , 명자나무

 

풀꽃 : 산괴불주머니, 꿩의밥, 양지꽃, 꽃잔디, (흰, 노랑)민들레, 유채, 현호색, (개)별꽃, 애기똥풀, 제비꽃, 광대나무, 봄까치꽃, (말)냉이, 꽃마리, 점나도나물, 살갈퀴, 갈퀴나물, (얼치기, 새)완두, 꽃다지

 

창원 다호리고분군을 지나 창녕 비봉리전시관 가는 길가에서 애기똥풀이 도열하듯이 노란꽃을 달고 있다. 대한민국에 씨앗을 뿌린듯 찬란하다. 제비꽃은 작은 키로 보라색 꽃을 달고 얌전하게 자리하고 있다. 제각각 자기 자리에서 예쁨을 뽐내고 있다. 그 시간이 화무십일홍이라고 길지 않은 시간, 꽃들은 열매의 시간을 꿈꾸고 있다.

 

4 / 20 / 일 : 청도 장례식장 오가는 길에

나무꽃 : 동백, 겹벚꽃, 황매화, 등덩굴(보라) 

풀꽃 : 꽃마리, 자화부추, 덩이괭이밥

 

4 / 26 토 : 울산수목원

나무꽃 : 이팝나무, 겹황매화, 등덩굴, 오동나무, 층층나무, 철쭉`연산홍, 동백, 삼색병꽃나무, 왕벚나무, 자엽풍년화, 아그베나무, 국수나무, 단풍철쭉(등대꽃나무), 삼색버들, 공조팝나무, 단풍나무, 장딸기, 고추나무, 모과나무, 마가목나무 

 

풀꽃 : 자화부추, 애기똥풀, (황새)냉이, 꽃다지, 꽃마리, 꽃받이, 금낭화, 작약, 살갈퀴, (얼치기, 새)완두, 토끼풀, 민들레, 보리뱅이, (좀, 선)씀바귀, 고들빼기, 점나도나물, 별꽃, 봄까치꽃, (콩, 흰, 보라)제비꽃, 쇠뜨기, (덩이)괭이밥, 양지꽃, 뱀딸기, 산괴불주머니, 주름잎, 떡쑥, 지칭개, 속속이풀, 뚝새풀, 개질경이, (보라)꽃창포, 금창초, 마가렛, 개구리자리

 

울산수목원은 처음 갔다. 울산들꽃학습원이 1년동안 개방하지 않는다고 하여 울산수목원을 처음으로 갔는데 접근성은 떨어지는데 

대운천의 오른쪽의 그다지 넓지는 않은 빈 땅을 수목원으로 만든 것 같다. 국립 힐링수목원(?) 이름은 부정확. 처음 느낌이지만

좋다. 여름에는 물에 발담근다고 좋고 걷기에도 높이가 심하지 않아 좋다. 아마 주차장이 공간이 모자라게 되지 않을까 싶다.

 

4 / 28 : 울산수목원

울산광역시에서 운영하는 공립수목원으로 난대성 수종과 한대성 수종 등 식물을 수집`전시 및 연구하고 시민들에게 풍요로운 삶과 행복을 드리기 위해 조성되었습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양산시, 기장군 경계에 있는 높이 742m의 대운산 자락에 위치하며, 옥류같이 맑은 물이 흐르는 내원암 계곡과 명품 굴참나무 숲이 어우러진 천혜의 자연경관을 간직하고 있어 우리나라 수목원 중에서 가장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라 자부합니다.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도통곡(도통골)이라는 골짜기에 살면서 도를 닦을 만큼 아름다운 경치와 울창한 숲이 잘 보전되어 있고 산책로를 따라 걸으면 저절로 힐링 되어가는 기분을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만남지구 : 억새원, 산림교육문화센터, 전기배전시설, 다목적 잔디광장

교육힐링지구 : 동백원, 대나무원, 수생식물원, 오감테라피숲체험원, 전시온실, 공용화장실, 국립대운산치유의숲

연구관찰 및 식물지구 : 유실수원, 암석원, 화목원

중심지구 : 원추리원, 비비추원, 교목, 관목전시원, 국화원, 초본식물원, 덩굴식물원, 파스칼향기원, 산나물재배원, 희귀식물원, 잔디원, 자생식물원, 고사리원, 꽃무릇원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만난 꽃  (1) 2024.03.05
꽃 달 력  (0) 2024.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