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박물관 3

울산박물관 3 : * 통일신라`고려`조선 시대 이후의 울산

* 통일신라시대 - 울산 사람들의 생활 통일신라시대 울산은 농경을 기본으로 하는 사회였지만, 바다를 무대로 다양한 생업 활동도 지속했다. 반구동 유적과 같이 항구와 관련된 시설의 존재를 통해 상업과 무역업에도 종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불교문화가 더욱 확산하고 발달하면서 화장 풍습이 새로운 장례 문화로 등장하였고, 바다가 보이는 곳에 건물을 세워 안전과 풍요를 기원하기도 하였다. 산하동 화암 유적 * 도장 무늬로 화려하게 - 통일신라시대 토기 통일신라시대에는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토기가 많이 만들어졌다. 이전보다 훨씬 더 고운 점토를 사용하여 굽다리 사발`뚜껑`바리`장군`뼈 항아리 등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또한 다양한 무늬의 도장을 찍어 그릇을 장식하는 도장무늬 토기가 등장한다. 처음에는 토기의 일부..

역사 공부 2023.02.26

울산박물관 2 : 삼한`삼국시대의 울산

* 달천철장 - 삼한시대 철 생산의 중심 철은 삼한시대에 처음 전해진 이후, 소국들이 고대 국가로 성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소재였다. 울산 달천철장 유적에서는 철의 원료인 토철과 철광석을 캤던 채광 시설이 발견되었다. 다양한 출토 유물로 보아 달천철장은 기원전 1세기경부터 근현대까지 철광석 생산의 중심지였음을 알 수 있다. 달천철장에서 채광된 철광석은 삼한시대부터 울산 및 경주 등 인근 지역으로 옮겨져 철제품으로 만들어졌다. 또한 달천철장에서 일본 야요이 토기와 낙랑 토기가 발견되어 이들 지역과도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달천을 중심으로 하는 울산지역의 철 문화는 삼한시대 울산지역 정치 집단이 성장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이 되었으며, 사로국이 고대국가로 성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 ..

역사 공부 2023.02.26

울산박물관 1 : 선사시대(구석기, 신석기, 청동기시대)

* 울산의 연표 구석기 70만 년 전: 한반도 인류 출현 신석기 8천 년 전 : 토기 등장. 간석기 사용. 반구대암각화 제작 청동기 2천 년 전 : 민무늬토기 사용. 고인돌 축적 청동기 1천오백년 전 : 청동기 제작. 논농사 시작 철기(삼한) 4백년 전 : 철기 문화 보급. 한국식동검 등장 철기(삼한) 1백년 전 : 철기 문화 확산. 와질토기 사용 삼국(신라) 400년 : 신라에 병합. 진흥왕, 천전리 각석 방문 539년. 태화사 창건 643년 통일신라 676년 : 영축사 창건 683년. 관문성 축조 722년. 처용 등장. 망해사 창건 875~886년 고려 918년 : 박윤웅, 고려 태조에게 귀부 930년. 울산 흥려부 승격 940년. 성종, 태화루 방문 997년. 울주에 읍성 축조 1385년. 언양에 ..

역사 공부 202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