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 3

대전시립박물관

* 대전시립박물관 : 2025년 6월 7일 방문 * 도구의 사용, 대전에 사람이 살다구석기시대는 인간이 돌을 깨뜨려 도구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최초로 인류문화가 형성된 시기이다. 시기는 대략 250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까지이다. 대전의 구석기 유적은 1991년 둔산동과 구즉동에서 처음 확인되었고, 이후 가수원동, 노은동, 용산동, 용호동 등 다양한 곳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특히 용호동과 용산동 유적에서는 2천여 점이 넘는 다량의 유물이 출토되어 대전지역의 구석기문화를 폭넓게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신석기시대는 정착생활과 더불어 농경과 목축이 시작된 시기로 대략 기원전 1만 년 전부터 1500년 전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와 토기를 처음으로 제작`사용하였다. 대전..

역사 공부 2025.07.03

선사시대 정리(우리나라)

* 구석기`신석기`청동기 * 국립중앙박물관 * 구석기문화구석기시대는 인류가 유인원과의 공통조상으로부터 분리`진화하여 농경과 고기잡이 및 정착생활을 특징으로 하는 신석기시대 이전까지의 시기로 약 400만년전부터 1만년전까지이 기간이다. 구석기시대의 생업은 주로 사냥과 채집이었으며, 이에 유리한 장소를 찾아 이동하면서 생활하였다. 이들이 사용한 주요한 도구는 돌을 깨뜨려 만든 뗀석기이며, 때로는 나무나 뼈로 만든 도구도 사용되었다. 구석기문화는 뗀석기의 종류나 가공기술의 특징에 따라 전기(400만년~10만년 전), 중기(10만년~4만년 전), 후기(4만년~1만년 전)로 나뉜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프랑스 남부의 빼리고드 지방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세계 각지의 구석기 문화에 대해서는 시간적인 ..

역사 공부 2025.04.24

울산박물관 1 : 선사시대(구석기, 신석기, 청동기시대)

* 울산의 연표 구석기 70만 년 전: 한반도 인류 출현 신석기 8천 년 전 : 토기 등장. 간석기 사용. 반구대암각화 제작 청동기 2천 년 전 : 민무늬토기 사용. 고인돌 축적 청동기 1천오백년 전 : 청동기 제작. 논농사 시작 철기(삼한) 4백년 전 : 철기 문화 보급. 한국식동검 등장 철기(삼한) 1백년 전 : 철기 문화 확산. 와질토기 사용 삼국(신라) 400년 : 신라에 병합. 진흥왕, 천전리 각석 방문 539년. 태화사 창건 643년 통일신라 676년 : 영축사 창건 683년. 관문성 축조 722년. 처용 등장. 망해사 창건 875~886년 고려 918년 : 박윤웅, 고려 태조에게 귀부 930년. 울산 흥려부 승격 940년. 성종, 태화루 방문 997년. 울주에 읍성 축조 1385년. 언양에 ..

역사 공부 202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