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이 세계라면 3

죽음의 한가운데 있는 삶('우리 몸이 세계라면(김승섭)' 중에서)

4장 죽음의 한가운데 있는 삶 우리 모두는 언젠가 죽습니다. 죽음은 인간을 하나로 묶는 공통분모이지요. 첫번째 글은 가장 많은 한국인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질병인 암을 이야기합니다. 암의 발생원인과 그로 인한 죽음의 원인을 이야기하면서, 죽음의 불평등과 사회의 역할에 대해 질문합니다. 두번째, 중세 유럽 인구의 3분의 1을 사망에 이르게 했던 흑사병을 다루면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죽음의 공포 앞에서 당시 사람들은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이야기합니다. 마지막으로, 죽음의 주도권을 의학에 넘겨주면서 죽음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법을 잃어버린 현대인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 병원에서 죽는다는 것 : 자기 죽음의 주도권을 잃은 시대 남편이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은 그녀도 의료진과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노후 관리 2022.09.30

우리 몸이 세계라면 : 5장 질문되어야 하는 것들

5장 시작 : 질문되어야 하는 것들 과학에서는 무엇보다 좋은 질문을 하는 게 중요합니다. 잘못된 질문에는 아무리 노력해도 좋은 답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 역시 중요합니다. 합리적 사유에 따른 검증 가능한 절차만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역사 속에서 과학자들이 ‘효율적인’ 연구를 위해 사회적 약자를 착취하고도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종종 발견합니다. 자신이 가진 기득권과 연구 과정의 윤리성에 대해 질문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결론과 성과만을 주목하는 세상에서 ‘쓸모없는’ 질문으로 시작해 과학적 사유의 토양을 다진 그리스의 성취와, 자신의 권력에 질문하지 않았던 과학자들이 남긴 한 비극적인 역사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쓸모없는’ 질문에서 시작된..

독후감 2022.01.23

우리 몸이 세계라면 : 4장 죽음의 한가운데 있는 삶

* 김승섭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2016년과 2017년 고려대학교 최우수 강의상인 석탑강의상. 2018년 최우수 연구사인 석탑연구상을 수상. 천안소년교도소에서 공중보건의사로 일한 이후, 재소자 인권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다 국가인권위원회의 ‘구금시설 건강권 실태조사’에 참여하기도 했다. 사회역학자로서, 차별경험과 고용불안 같은 사회적 요인이 비정규직 노동자나 성소수자와 같은 사회적 약자의 건강을 어떻게 해치는지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2014년 : 인턴·레지던트 근무환경 연구 2015년 :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 건강 연구, 국가인권위원회의 ‘소방공무원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년 : 한국 성인 동성애자·양성애자 건강 연구, 세월호 특조위의 ‘단원고 학생 생존자 및 가족 대상 실태조사 연구 2017년 :..

독후감 2022.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