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집에서 맞이하는 죽음의 유형 3가지
1) 병사 : 치료, 요양 중에 사망하는 경우
2) 사고사 : 사망의 원인이 분명한 사고사(자살, 피살, 안전사고 등)
3) 돌연사 : 불분명한 신체적 원인으로 사망. 심정지, 무호흡, 무증상, 기타
2. 사망 유형별 대처 요령
1) 병사 : 평소 진료받던 병원에 연락(구급차량 이용, 병원 이송)
2) 사고사 : 112에 전화한다. 수사요원과 검시의 출동, 사인 진단후 검사필증 발급.
(검사필증 발급. 상황에 따라 장시간 걸릴 수도 있다.). 검사 필증 발급 후 입관 진행
3) 돌연사 : 지병이 있고 진료경력 있으면 : 병원에 연락, 안내에 따른다. 지병이 없으면 112에 전화한다.
* 병사로 판명, 조기 진단 시 : 상조회사(장례식장)에 연락, 절차에 따라 준비하고 진행한다. 장례절차 모르면 당한다.
* 진단이 지체될 시(사고사, 돌연사) : 상황 발생 24시간 이내 검사필증발급 가능(특별한 경우 제외)
정상적으로 진행된다는 전제하에 준비, 진행. 단 입관은 검사필증 받은 후에 진행 가능.
'노후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급복지 지원 제도 (1) | 2023.05.11 |
---|---|
생의 마지막 프로젝트 '죽음'(미치 앨봄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0) | 2022.10.01 |
퇴직과 노년의 심리학(폴 투니어) (0) | 2022.09.30 |
죽음의 한가운데 있는 삶('우리 몸이 세계라면(김승섭)' 중에서) (1) | 2022.09.30 |
9 / 24 한겨레 :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 '존엄사' (2)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