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3

새파란 돌봄 : 조기현

* 나는 아픈 아버지와 더부어 살아갈 수 있을까?* 돌봄청년 커뮤니티 'N인분' 운영 * 아픈 아버지를 버리지 않으면서 그렇다고 아버지의 삶을 관리하는 수준에만 머물지 않으면서 내가 원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을까? 12년째 질문 중.신체적으로 노쇠해지고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있는 아버지가 '그래도 인간답게 살았으면 좋겠어!' 라고 해서 옆에서 도우려고 하면 결국 저는 하고 싶은 거 하나도 못하고 하고 싶은 거 하려면 아버지 존재를 배제하고 해야 한다. 답을 찾기 위한 관점을 나누려고 한다. * 왜 더불어 사는 건 불가능할까? 20세 초여름, 응급실 전화 - 영캐어러의 돌봄의 위기 : 이혼한 한부모의 자녀로서 의료와 간병, 서류작성, 복지 신청 등의 어려움 - 6개얼의 치료 후에도 발병 전으로 되돌아가지 못..

독후감 2025.03.28

2025년

3 / 16 : 해동초등학교와 동네 만난꽃 : 매화, 홍매화, 능수매화, 목련(초등학교) 3 / 20 : 꽃대로 나무 구별하기복숭아 : 꽃대가 짧다. 꽃잎이 뾰족.매화 : 꽃대가 없다. 꽃잎이 둥글다.벚꽃 : 꽃대가 길다. 꽃잎이 갈라졌다. 3 / 30 : 동네만난꽃 :풀꽃 : 꽃마리, 개쑥갓, 점나도나물, 수선화, (좀)봄까치꽃, 살갈퀴, 제비꽃, 민들레, 방가지똥, 별꽃, (황새)냉이, 광대나물, 유채꽃, 봄동나무꽃 : 앵두, 살구꽃, 벚꽃, 동백, 복숭아, 라일락, 황매화, 남경도, 로즈마리, (자)목련, 개나리, 사방오리나무, 산수유, 백서 향, 해운대여중, 해동초등학교에 라일락꽃이 피었다. 계절은 일정하게 꽃피고 열매맺는데 내 머릿속 시계는 고무출처럼 늘어지기도 하고 수축도..

야생화 2025.03.20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개관 30주년 특별전한국의 신발 발과 신2024. 5. 14 ~ 9. 227월 21일 방문  * 01 신발은 언제부터 신었을까요?현재 남아 있는 신발 중 가장 오래된 신발은 미국 오리건주에서 발견된 산쑥나무 껍질로 만든 신발입니다. 이 신발은 1만 년 전에 만들어졌지만, 인류는 발을 보호하고 기후를 극복하기 위해 그 전부터 신발을 신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앙아시아 로프노르에서 발견된 약 3500년 전의 가죽신이 있습니다. 이 신발은 발목까지 감싼 모양으로 추운 날씨를 견딜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신었던 신발의 흔적은 고조선 유적이 있는 심양 정가와자에서 발견된 청동 단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단추는 가죽신을 장식했던 용도로 추정되며, 비슷한 단추가 경북 영천에서 발견되기..

역사 공부 2024.08.04